코밍이의 하루

[HTML5] 링크 만들기 본문

웹언어 공부/HTML5

[HTML5] 링크 만들기

코밍이 2021. 8. 16. 14:05

 

1. 개발 환경

구분 내용
사용 언어 HTML5
개발환경 Visual Studio Code
참고 도서 [Do it] HTML5 + CSS3 웹 표준의 정석
웹브라우저 Chrome

 

2. 주요 문법

1) <a> 태그

- 텍스트와 함께 사용하면 텍스트 링크가 되고 이미지와 함께 사용하면 이미지 링크가 된다.

기본형
<a href="링크할 주소" [속성="속성 값"]> 텍스트 </a>
<a href="링크할 주소" [속성="속성 값"]> <img src = "이미지 파일 경로"> </a>

2) <a> 태그 속성

속성 내용
href 링크한 문서나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
target 링크한 내용이 표시될 위치(현재 창 또는 새 창)를 지정
download 링크한 내용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드 한다
rel 현재 문서와 링크한 문서의 관계를 알려줌
hreflang 링크한 문서의 언어 지정
type 링크한 문서의 파일 유형을 알려줌

3) target 속성

속성 내용
_blank 링크 내용이 새 창이나 새 탭에서 열림
_self - target 속성의 기본값
- 링크가 있는 화면에서 열리
_parent 프레임 사용 시 링크 내용을 부모 프레임에 표시
_top 프레임 사용 시 프레임에서 벗어나 링크 내용을 전체 화면에 표시

4) 앵커(anchor)

- 페이지가 긴 웹 문서에서 특정 요소를 클릭하면 그 위치로 한 번에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기본형
<태그 id="앵커 이름"> 텍스트 또는 이미지 </태그>
<a href="#앵커 이름"> 텍스트 또는 이미지 </a>

5) <map> 태그

- 이미지 맵 : 한 이미지상에서 클릭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링크가 열리는 것

기본형
<map name="맵 이름">
  <area>
  <area>
  ......
</map>

<img src="이미지 파일" usermap = "#맵이름">

- <map> 속성

속성 설명
alt 대체 텍스트를 지정
coords 링크로 사용할 영역을 시작 좌표와 끝 좌표를 이용해 저장
download 링크를 클릭했을 때 링크 문서 다운로드
href 링크 문서 경로 지정
media 링크 문서를 어떤 미디어에 최적화시킬지 지정
rel 현재 문서와 링크 문서 사이의 관계 지정 속성 값 Iternate, bookmark, help, license, next, nofollow, noreferer, prefetch, prev, search, tag
shape 링크로 사용할 영역 형태 지정 속성 값 default, rect, circle, poly
target 링크를 표시할 대상 지정 속성 값 _blank, _parent, _self, _top, 프레임 이름
type 링크 문서의 미디어 유형 지정

 

3. 소스 코드 및 실행 화면

- link.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링크 만들기</title>
  </head>
  <body>
      <h1>텍스트 링크 만들기</h1>
      <a href="http://www.easyspub.com">이지스퍼블리싱 홈페이지</a>
      <h1>이미지 링크 만들기</h1>
      <a href="http://www.easyspub.com">
          <img src="images/easyspub.jpg" alt="이지스퍼블리싱 홈페이지로 가기">
      </a>
  </body>
</html>

 

link.html

- target.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텍스트 링크</title>
      <style>
          a {
              text-decoration:none;
              color:black;
          }
      </style>
  </head>
  <body>
      <h1>텍스트 링크 만들기</h1>
      <p><a href="http://www.easyspub.com">이지스퍼블리싱 홈페이지(현재 화면)</a></p>
      <p><a href="http://www.easyspub.com" target="_blank">이지스퍼블리싱 홈페이지
      (새 창 또는 새 탭)</a></p>
  </body>
</html>

target.html

- parent.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 it!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 & 깃허브 입문</title>
      <style>
          body {
              text-align:center;
          }
          iframe {
              border:1px dotted gray;
          }
      </style>
  </head>
  <body>
      <h1>Do it!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 & 깃허브 입문</h1>	
      <p>아래 화면은 iframe 태그를 이용해 외부 문서를 현재 문서에 삽입한 것입니다.</p>
      <br><br>
      <iframe src="child.html" width="600" height="400"></iframe>
  </body>
</html>

parent.html

- child.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프런트엔드 웹 디자인 입문</title>
	<style>
		body {
			background-color:#ffffff  /* 문서 전체 배경색 */
		}
		img {
			float:left;  /* 왼쪽으로 배치 */
			margin-right:20px;  /* 이미지의 오른쪽 여백*/
		}
	</style>
</head>
<body>
	<img src="images\git.jpg" alt="두잇,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 and 깃허브 입문">
	<br><br>
	<h2>문서 지옥, 깃&깃허브로 하루 안에 탈출한다!</h2>	
	<p>1시간이면 초보 탈출, 5시간이면 기본 활용법 완전 정복!</p>
	<p>자주 쓰는 기능을 모두 담아 한 권에 끝낸다!</p>
	<p><a href="http://www.easyspub.co.kr/20_Menu/BookView/337">도서 상세 보기(현재 화면에)</a></p>
	<p><a href="http://www.easyspub.co.kr/20_Menu/BookView/337" target="_top">
    도서 상세 보기(전체 화면에)</a></p>
</body>
</html>

child.html

- anchor.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링크 만들기</title>
  </head>
  <body>
      <h1>앵커 만들기</h1>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ul id="menu">
          <li><a href="#content1">메뉴1</a></li>
          <li><a href="#content2">메뉴2</a></li>
          <li><a href="#content3">메뉴3</a></li>
      </ul>
      <h2 id="content1">내용1</h2>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a href="#menu">[메뉴로]</a></p>
      <h2 id="content2">내용2</h2>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a href="#menu">[메뉴로]</a></p>
      <h2 id="content3">내용3</h2>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웹 문서가 너무 길 경우 필요한 곳마다 문서 안에 이름을 붙여놓고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앵커(anchor)라고 합니다. </p>
      <p><a href="#menu">[메뉴로]</a></p>
  </body>
</html>

anchor.html

- map.html

map.html

'웹언어 공부 > HTM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 폼 만들기  (0) 2021.08.19
[HTML5] SVG 이미지  (0) 2021.08.16
[HTML5] 이미지  (0) 2021.08.16
[HTML5] 표를 만드는 태그(2)  (2) 2021.08.12
[HTML5] 표를 만드는 태그(1)  (0) 202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