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언어 공부/JS (47)
코밍이의 하루

9.1 타입 변환이란? 1. 명시적 타입 변환(타입 캐스팅) :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 2. 암묵적 타입 변환(타입 강제 변환) :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하는 것 9.2 암묵적 타입 변환 1.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1 + '2' // "12" // 템플릿 리터럴의 표현식 삽입 `1 + 1 = ${1 + 1}` // "1 + 1 = 2" 2. 숫자 타입으로 변환 // 산술연산자 1 - '1' // 0 1 * '10' // 10 1 / 'one' // NaN // 비교 연산자 '1' > 0 // true // 문자열 타입 +'' // 0 +'0' // 0 +'1' // 1 +'string' // NaN // 불리언 타입 +true..

*제어문 : 조건에 따라 코드 불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실행할 때 사용한다. (조건문, 반복문) 8.1 블록문 1.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 {}로 묶은 것, 코드 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른다. 1) 하나의 실행 단위로 취급한다. 2)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어문이나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3) 자체 종결성을 가지고 있어 블록문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 블록문 { var score = 2; } // 제어문 var i = 10; if (i >= 10) { i--; } // 함수 선언문 function sub(x,y) { return x - y; } 8.2 조건문 -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코드 블록의 실행을 결정한다. - 불리언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

*연산자 :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7.1 산술 연산자 1. 산술 연산자 :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 1)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 2. 이항 산술 연산자 :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1) 모든 이항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없다. 2) +, -, *, /, % 3. 단항 산술 연산자 :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1) ..

6.1 숫자 타입 1.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하며, 정수만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2. 정수, 실수, 2진수, 8진수, 16진수 리터럴은 메모리에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의 2진수로 저장된다. - 2,8,16진수는 모두 10진수로 해석된다. var integer = 10; // 정수 var double = 10.12; // 실수 var negative = -20; //음의 정수 var binary = 0b01000001; // 2진수 var octal = 0o101; // 8진수 var hex = 0x41; // 16진수 console.log(binary); // 65 console.log(octal); // 65 console.log(hex); // 65 cons..

5.1 값 1. 값 :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1) 평가 :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 2) 예제 // 10 + 20은 평가되어 숫자 값 30을 생성한다. 10 + 20; // 30 // 변수에는 10 + 20이 평가되어 생성된 숫자 값 30이 할당된다. var sum = 10 + 20; 5.2 리터럴 1. 리터럴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 1) 정수 리터럴 : 100 2) 부동소수점 리터럴 : 10.5 3) 2진수 리터럴 : 0b010002 4) 8진수 리터럴 : 0o101 5) 16진수 리터럴 : 0x41 6) 문자열 리터럴 : 'Hello' , "World" 7) 불리언 리터럴 : true, false 8) null ..

4.1 변수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1. 메모리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집합체 1)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비트)이며, 컴퓨터는 메모리 셀의 크기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는다. 2) 각 셀은 고유의 메모리 주소를 갖고 이는 메모리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며 메모리의 크기만큼 정수로 표현된다. 3)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2진수로 처리하기 때문에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모두 2진수로 저장된다. 2. 자바스크립트는 개발자의 직접적인 메모리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다. - 허용하게 되면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부팅하는 값이 어떤 메모리 공간에 저장해두었는데 이 값을 변경하게 되면 시스템 부팅이 안될 수 있다. 3. 변수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